본문 바로가기

[K-Digital] 온·오프 연계 AI활용 지능형 서비스 개발

멀티캠퍼스 AI 온라인 강의 숙제 12번째

728x90
반응형

원래 취지는 '그 날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대충 정리해서 글 쓴다'라는 숙제로 시작한 블로그 글이였는데, 이제는 뭐 '그 날 배우고 공부한 것'이라는 의미는 없어지고 그냥 하루에 한 번 글 쓰는게 되었다.

이번 글에서는 자바 이클립스에서 git bash를 실행하는것을 해보도록 하겠다. 하는 김에 나 이클립스 워크스페이스도 바꾸고...항상 위치가 마음에 안들었음. 강사님이 일단은 당장 자기 자신을 따라오기 편하라고 자기처럼 '사용자 - 0java' 폴더에 워크스페이스 생성하고 따라하라고 하셔서 따라는했었다만, 항상 이 위치가 너무 보기 불편했다.

워크스페이스 위치 변경은 위 사진대로하면 간단하다. 그냥 문자 그대로, 스위치 워크스페이스......

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기존 워크스페이스를 옮기고, 그곳으로 설정하자.

 

 

 

 

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랬다고, 아예 그냥 깃허브의 레포지토리도 새로 팠다. Java2라고....

근데 어제로써 자바 기초 교육은 다 끝나고 다음 주부터는 다른거한다고 했는데 ㅋㅋㅋㅋ 엌;; 이 레포지토리가 과연 더 업데이트 될까? 내가 과연 그 정도로 성실할까?

세상에 뭔 언어 교육이 2주도 안되서 끝나다니. 너무 빠른것 아닌가;;

 

 

 

그리고 깃허브 사이트의 메인에 출력될 README.md 파일의 내용을 고치자.

 

 

 

 

 

다 했으면 이제 간단하다. 만약 git 프로그램을 제대로 설치 다 했다면, 아무 폴더에나 들어가서 우클릭으로 메뉴 열어보면 'git here' 이라는 메뉴가 생긴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.

이클립스 내에서도 똑같다. show in local terminal 메뉴에서 git bash를 찾아 볼 수 있다.

 

 

 

그러면 밑에 '터미널'이라는 창이 새로 생기면서 git bash가 실행된다. 기존 git bash와 명령어도 똑같고, 전부 다 똑같다. Ctrl+V 대신에 Shift+Insert라는 끔찍한 단축키가 적용되는것까지 다 똑같다. 그냥 git bash를 여기에서 실행시키는것 뿐이다.

그리고 나는 워크 스페이스 폴더에 git init을 걸고 java2 레포지토리에 push했다.

git init  -->  git add .  -->  git commit -m "어쩌고저쩌고"  -->  gjt remote add origin "레포지토리 주소"  --> git push origin master.

 

 

 

잘~되었다.

끝!

뭐 이런 간단한 내용을 올리나싶은데 그냥 아무 글이나 쓰고 싶어서 썼다. 이거 성실하게 쓰면 상 준다고했는데 저 주세요. 저 받고 싶어요.

728x90
반응형